실패 위험 부담을 덜어주는 생활 속 아이디어 창업을 지원한다
생활혁신형 창업자 3천명에게 성공불융자 450억원 지원
실패 위험 부담을 덜어주는 생활 속 아이디어 창업을 지원한다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 편집부
생활혁신형 창업자 3천명에게 성공불융자 450억원 지원
과밀화로 인한 다산다사의 상황에서도 소비트렌트 변화로 새롭게 형성되는 틈새시장이 소상공인 창업의 유망분야로 등장하면서,
틈새시장에서 생활주변의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성공한 소상공인 창업사례*가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미레아우드디자인」 김상희 대표(대구)는 실패에 대한 걱정 때문에 창업을 주저하다, 직접 디자인한 ‘자작나무 회전책장’을 주요상품으로 창업에 성공하여 월 평균 1,500만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홍종학)는 ‘18. 6. 8(금)부터 생활주변의 아이템에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접목한 창업을 지원하는 ’생활혁신형 창업* 지원사업‘을 시작한다.
(개념) 소비트렌드 변화 등으로 새롭게 형성되는 틈새시장으로, ‘생활주변에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성공가능성이 있는 창업분야(생계형과 기술창업의 중간)
이번 사업을 통해 단순 음식점업, 소매업, 서비스업 같은 과밀업종 대신에 생활 속의 아이디어를 적용한 틈새업종의 창업을 지원하여 소상공인의 과밀화를 해소하고, 새롭게 형성되는 틈새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계획으로,
올해 생활혁신 창업자 3천명을 선정하여, 성실실패시 융자금 상환이 면제되는 성공불 융자(최대 2천만원)를 지원한다.
창업준비도, 창업역량, 사업성 등을 종합평가하고, 전문컨설턴트의 멘토링을 거친 후에 성공불융자금이 지원된다.
성공불 융자는 도전적으로 창업할 수 있도록 정부가 창업실패의 위험을 일부 분담해주는 제도로 금번부터 새로이 도입되어 지원된다.
3년 후 성공․실패를 심사하여 성공시 상환의무가 부과되고, 실패시에는 고의실패와 성실경영실패로 나누어 상환의무를 차등적으로 면제한다.
고의실패의 경우는 전액 상환의무를 부과하되, 성실경영실패의 경우는 성실경영평가를 통해 상환 면제 수준을 판정
중소벤처기업부 편장범 사무관(책임관)은 “소비트렌트 변화의 기회를 잡을 수 있는 혁신적 아이디어를 보유한 생활혁신형 창업자들에게 동 사업이 좋은 기회가 될 것이며,
창업후에도 경영교육・컨설팅・정책자금 등 후속지원사업을 연계하여 성공창업을 지원하고, 매출증대와 고용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 성장관리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신청・접수는 ‘18.6.8(금)~’18.11.30(금)(예산소진시)까지로, 전용플랫폼인 “아이디어 톡톡”(http://www.ideasbiz.or.kr,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간략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여 신청하면 된다.
신청자격은 생활혁신형 아이템을 보유한 예비창업자나, 1년 내의 창업자(공고일 기준)로, 청년창업자(39세 이하)의 경우에는 우대한다.
자세한 사항은 소상공인마당(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문의할 수 있다.
추진배경
고급기술 필요 없는 생활분야 틈새시장의 생활혁신형 창업*을 촉진하여 새로운 일자리 창출 및 생계형 업종의 과밀화를 방지
(개념) 소비트렌드 변화 등으로 새롭게 형성되는 틈새시장으로, ‘생활주변에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성공가능성이 있는 창업분야(생계형과 기술창업의 중간)
지원내용
생활혁신형 창업자를 발굴‧멘토링하고, 성공불 융자*(최대 2천만원) 지원후, 성실실패시 상환면제로 실패부담 최소화
발굴된 생활 혁신형 창업가 대상으로 창업 후 성실실패시 상환의무가 없는 성공불 융자 지원(불성실 실패는 상환 의무 有)
세부내용
지원예산 및 규모 : 490.5억원
사업기간 : ‘18. 6 ~ ’18. 12.
신청대상 : 신청 아이템의 예비창업자・1년내 창업자
(청년우대) 39세 이하 신청자는 평가시 가점을 통해 청년일자리 창출 유도
(지원제한) 유흥・향락 등 정책자금 제외업종은 원칙적으로 제한하고, 아이디어 차별성 없는 단순 생계형 음식업・소매업・서비스업 등은 평가요소에 반영
접수방법 : ‘전용플랫폼(아이디어톡톡)’을 통한 매월 접수*・선정**
핵심내용을 포함한 간편 사업계획서 등 제출
6-11월 매월말 접수신청 마감후 1개월내 선정, 총 6회 접수(예산소진까지)
추진체계
① 플랫폼개편 | ➪ | ② 참가자 신청 | ➪ | ③ 대상자 선정 | ➪ | ④ 멘토링 | ➪ |
신청・접수, 평가・멘토링・융자현황 관리 | | 플랫폼을 통해 사업 참가자 매월 접수 | | 서면평가(소진공본부총괄) 대면평가(지역본부총괄) | | 사업계획서・노하우 등 창업 멘토링 | |
| | | | | | | |
⑤ 사업화지원 | ➪ | ⑥ 후속 지원 | ➪ | ⑦ 성패판정 | ➪ | ⑧추가인센티브 | |
지역센터에서 성공불융자 신청(2천만원 한도) | | 창업후 추가 교육・컨설팅・대출 지원 | | 창업 3년후 성실실패시 면제 및 성공時 상환 | | 성공시 추가대출 등 인센티브 | |
단순 음식점‧소매업 등 생계형 대신 기술발전‧소비트렌드 변화 등으로 새롭게 형성되는 틈새시장*의 소상공인 창업분야
생계형 창업 | 생활혁신형 창업 | 기술혁신형 창업 |
과밀 업종 | 생활 틈새시장에 기반한 아이템 | 고급 전문기술에 기반한 아이템 |
창업후 시장진입 | 창업후 시장진입(즉시 매출) | 인큐베인팅 2~5년후 시장진입・투자 |
과밀창업으로 폐업가능성 높음 | 단기적 일자리 창출에 효과적 1개 아이템으로 다수 창업가능 | 장기적 일자리 창출에 효과적, |
생활혁신형 창업 사례(예시)

편집부 FM교육방송 편집부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