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진료 강화를 위한 제2기 공공전문진료센터 지정 추진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센터 등 양질의 전문진료 제공 강화를 위한 4대 전문진료 분야 재지정 및 신규 지정 추진

[ 기사위치 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전문진료 강화를 위한 제2기 공공전문진료센터 지정 추진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 편집부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센터 등 양질의 전문진료 제공 강화를 위한 4대 전문진료 분야 재지정 및 신규 지정 추진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앞으로 3(2020~2022) 동안 공공전문진료센터로 지정될 의료기관을 선정하기 위한2기 공공전문진료센터 지정 공모916()부터 1018()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

공공전문진료센터로 지정받은 기관은 양질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의료 인력에 대한 교육 및 관련 기관 간 연계
·협력 등 공공보건의료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번 공모는 지난
2016년 제1기 공공전문진료센터 지정* 이후공공전문진료센터 지정기준 고시개정(‘19.9)에 따라 추가 및 보완된 지정 기준으로 실시되며, 공모 분야는 어린이, 호흡기, 노인, 류마티스 및 퇴행성 관절염 총 4개의 전문진료 분야이다.

*
서울대학교병원, 연세대학교세브란스병원 등 총 23개소 지정

공공전문진료센터 지정 제도는 수익성이 낮아 공급이 원활하지 않거나 지역별 공급 차이가 커 국가 지원이 필요한 전문 진료 분야에 대해 각 기관의 역량을 강화하고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4개의 공공전문진료 분야별 병원을 매 3년 주기로 지정하는 제도이다.

신청 대상은
4개의 전문진료 분야별 시설·인력 및 장비를 갖추었거나 갖출 능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종합병원* 또는 전문병원* 중에서 공공전문진료센터 지정을 원하는 의료기관이다.

*
의료법3조제2항제3호마목의 종합병원 또는 제3조의51항에 따른 전문병원

신청 당시 공공전문진료센터 법정 지정기준
(시설·장비·인력)을 갖춘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하되, 지정기준 일부를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일정기간 내에 그 기준을 충족할 것을 조건으로 공공전문진료센터로 지정이 가능하다.

지정을 원하는 의료기관은 지정신청서
, 2020~2022년 사업계획서, 광역자치단체 의견서 등을 관할 광역자치단체(·도청)를 통해 보건복지부로 1018()까지 제출하면 된다.

이번 공모에 선정된 의료기관은
202011일부터 공공전문진료센터로 지정되며, 지정 기간은 3년이다.

보건복지부 윤태호 공공보건정책관은
지역 간 의료 공급의 불균형과 필수의료 분야의 지역 격차 완화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의료기관이 이번 공모에 많이 참여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공모 방법 및 절차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보건복지부 공공의료과
(044-202-2545) 및 시·도 담당자에게 문의해 안내를 받을 수 있다.

*
자세한 내용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http://www.mohw.go.kr) 공지사항(공고) 확인 가능



편집부  FCN FM교육방송 최창미 기자(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