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화상회의 서비스•제품 보안 강화 지원

수요기업 대상 서비스 보안취약점 점검 및 클라우드 보안인증 지원

[ 기사위치 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과기정통부, 화상회의 서비스•제품 보안 강화 지원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 편집부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수요기업 대상 서비스 보안취약점 점검 및 클라우드 보안인증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김석환, 이하 ‘KISA’)은 화상회의 서비스(제품)의 보안 강화를 위해 화상화의 서비스(제품)의 보안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보안 검증된 서비스(제품)의 보급 확대 지원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코로나
19로 직장과 학교 등에서 비대면(untact) 바람이 불면서 화상회의 솔루션이 주목받고 있으나, 화상회의 서비스제품의 보안취약점으로 개인정보 유출, 해킹 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재택
·원격근무와 원격수업을 위한 정보보안 수칙을 각각 발표(3.30, 4.9)했고, 온라인 교육에 이용되는 화상회의 서비스제품의 해킹사고 발생과 신규 보안취약점 정보에 대해 ‘24시간 집중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더해서 이번 대책은 국민들과 기관들이 화상회의 서비스
제품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화상회의 서비스제품 보안 모니터링 및 점검 강화 보안성 검증된 화상회의 서비스제품 보급 확대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우선 화상회의 서비스
제품의 보안 모니터링 및 점검 강화를 위해

원격회의 관련 홈페이지 위
변조, 스미싱, 악성코드 유포 등 사이버공격 및 신규 보안취약점 정보 집중 모니터링

화이트해커 등을 활용한 신규 보안 취약점 신고 포상제
* 운영 등을 추진한다.

분기별로 우수 취약점을 선정하여 평가결과에 따라 최고
1,000만원 포상금 지급

다음으로 보안 검증된 화상회의 서비스
제품의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기업 수요를 받아 국산 영상회의 서비스 대상 보안취약점 점검 지원

중소
영세 서비스 개발기업 대상 보안컨설팅 지원 및 필요한 보안제품서비스 비용 지원 (최대 1천만원)

민간기업의 신속한 클라우드서비스 보안인증
* 획득 지원(행정절차 간소화 및 보안컨설팅 지원 등) 등을 추진한다

행정
공공기관에 클라우드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서비스 보안 인증 필요(현재 더존비즈온 WEHAGO V, NHN Dooray 2종 획득)

화상회의 서비스
제품의 보안점검이나 클라우드 보안인증에 관심있는 기업은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아래 연락처로 문의하면 된다.

클라우드 기반 화상회의 서비스
: 클라우드인증팀(061-820-1665)

화상회의 제품
: 취약점점검팀(02-405-5172)

과기정통부 허성욱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비대면(untact) 서비스의 핵심은 보안이며, 국민들과 기업이 안심하고 화상회의 서비스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보안대책을 지속적으로 강구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편집부  FCN FM교육방송 이승훈 기자(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