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체 실감콘텐츠의 산실, ‘K-실감스튜디오’ 개소

최기영 장관, 비대면 핵심서비스인 실감콘텐츠산업 붐업 본격 추진

[ 기사위치 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입체 실감콘텐츠의 산실, ‘K-실감스튜디오’ 개소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 편집부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최기영 장관, 비대면 핵심서비스인 실감콘텐츠산업 붐업 본격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상암동 한국 VRAR콤플렉스(KoVAC)에 아시아 최대수준의 실감콘텐츠 제작인프라인 ‘K-실감스튜디오(Korea Immersive Studio)’513일에 개소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5G 환경에서 360° 입체 실감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인텔스튜디오*와 같은 실감콘텐츠 제작 인프라가 필요하다는 업계의 의견을 반영하여, 100억원 규모의 예산을 선제적으로 투입하여 ’K-실감스튜디오를 구축하였다.

(
인텔스튜디오) 세계 최대규모의 입체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스튜디오(280평 규모, 200대 카메라, 스토리지 약 10PB 수준)’18년부터 운영

5G
상용화로 기존의 2차원 콘텐츠뿐만 아니라, 실물처럼 입체감이 있는 실사 기반의 3차원 대용량 실감콘텐츠* 서비스가 가능해지는 등 실감콘텐츠 서비스 환경이 고도화되고 있다.

사용자 시각 반대편 공간까지 촬영영상을 저장하여 모든 방향에서 객체 시각화가 가능한
3차원 입체 콘텐츠

입체콘텐츠
1분에 약 600MB(일반 2차원 영상은 60분에 약 1GB)5G 이동통신 필요

‘K-
실감스튜디오는 개별적으로 제작인프라를 구축하기 어려운 국내 중소벤처 실감콘텐츠기업이 저비용으로 고품질의 실감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인프라이다.

100평 규모*의 스튜디오에서 4K 고화질 카메라 60대로 객체(인물 등)를 모든 방향에서 촬영하고,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300대의 GPU 렌더팜을 통해 빠르게 병합 처리**하여 하나의 완벽한 입체콘텐츠로 구현하게 된다.

촬영실
, 편집실, 기타 부대공간을 포함하여 총 100평 규모

1
분 분량의 입체콘텐츠 제작을 위해 1시간 내외 연산시간 소요

국내 중소
벤처 실감콘텐츠 기업은 ’K-실감스튜디오를 활용하여 교육, 의료,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의 고품질 입체 실감콘텐츠*를 빠른 시간에 제작하여 AR(증강현실) 콘텐츠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입체콘텐츠
(예시) : 요가강사의 동작을 원하는 어느 방향에서든 체험 가능한 홈트레이닝 콘텐츠, 인간문화재를 입체콘텐츠로 기록보관 등


개소식에서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가상증강현실산업협회, 이통3, EBS 간 실감콘텐츠산업 활성화를 위한 MOU도 진행되었다.

MOU
체결을 계기로 실감콘텐츠 중소벤처기업이 정부 인프라를 활용하여 실감콘텐츠 제작이 활성화되고, 서비스기업의 플랫폼을 통해 실감콘텐츠 서비스 유통이 확대되는 등 실감콘텐츠산업의 민관협력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과기정통부 최기영 장관은 개소식 축사를 통해
실감콘텐츠는 5G 핵심서비스이자, 포스트 코로나 시대 비대면 산업을 이끌 핵심서비스 분야라며,

“’K-
실감스튜디오라는 실감콘텐츠 민관협력의 새로운 장을 통해 창의혁신적인 실감콘텐츠 제작과 유통이 활성화되어 일상에서 실감콘텐츠 이용이 확대되고, 글로벌 시장에도 진출하길 바란다,

과기정통부는 아이디어로 무장한 국내 실감콘텐츠기업이 상상을 현실로 실현할 수 있도록 선도적인 인프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편집부  FCN FM교육방송 이승훈 기자(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