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등록증(외국국적동포 국내거소신고증, 영주증 포함)에 한글이름이 함께 표기된 외국인은 한글이름으로도 휴대폰 개통이 가능해진다

[ 기사위치 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외국인등록증(외국국적동포 국내거소신고증, 영주증 포함)에 한글이름이 함께 표기된 외국인은 한글이름으로도 휴대폰 개통이 가능해진다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 편집부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법무부(장관 추미애)와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는 외국인등록증(외국국적동포 국내거소신고증, 영주증 포함, 이하 외국인등록증”)에 한글이름이 함께 표기된 외국인에 대해서도 68일부터 한글이름으로도 실명확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법무부는
20194월 국내에 체류하는 재한화교와 외국국적동포에 대한 포용과 생활편의 향상 그리고 이들에 대한 호명에 혼란을 겪고 있는 국민들의 불편해소를 위해 외국인등록증 한글이름 병기를 확대 시행 한 바 있다.

외국인등록증 한글이름 병기 확대제도는 2019년도 국민생활밀접 민원제도 개선 경진대회에서 동상(행정안전부장관상) 수상

외국인등록증 한글이름 병기는 관련단체 및 대상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았으나 영어이름으로만 실명확인이 가능하고 한글이름으로는 통장 개설과 휴대폰 개통뿐만 아니라 이와 연계된 아이핀 발급 등 온라인 본인확인서비스 또한 이용할 수 없었다
.

이에 법무부는 방송통신위원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실무회의를 수 차례 개최하는 등 적극 협력하여 68일부터 한글이름으로도 실명확인이 가능하도록 관련 시스템을 정비하였다.

금번 개선으로 외국인등록증에 한글이름이 병기된 재한화교와 외국국적동포 등
80여 만명이 한글이름으로 통장 개설과 휴대폰 개통을 할 수 있게 되어 그 동안의 불편함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도 정부는 국내 장기 체류 중인 외국인들의 생활밀접형 불편사항을 개선해 나가겠다
.

개선 사항

외국인등록증
(외국국적동포 국내거소신고증, 영주증 포함)에 영어이름과 함께 표기된 한글이름으로도 실명확인 가능

외국인등록증 이름 표기 예 : JIN MEIHUA(김미화)

현 재

개 선

JIN MEIHUA 만 가능

JIN MEIHUA or 김미화 가능

(, 둘 중에 하나만 가능)

실명확인 프로세스 예)

휴대폰 개통

통장 개설




편집부  김형철(레저레크문화교육제작국 칼럼니스트) seedinout@fmebs.com

<저작권자 ©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