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의 주범은 바로 우리의 손

‘올바른 손씻기’가 ‘백신’

[ 기사위치 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감염병의 주범은 바로 우리의 손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 편집부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올바른 손씻기’가 ‘백신’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세계 손씻기의 날(10.15.)을 계기로 손씻기를 어떻게 실천하고 있고, 또 감염병 예방을 위해 올바른 손씻기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알리기 위해 손씻기 관찰 및 실험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질병관리본부·분당서울대병원 손씻기 실태 공동 조사(2019.9.19.24.)

먼저
, 일상생활에서 올바른 손씻기를 얼마나 잘 실천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공중화장실에서 1,000여 명의 손씻기 실천을 관찰했다.

 

1,039명을 관찰한 결과 32.5%(338)가 전혀 손을 씻지 않았으며, 물로만 씻은 경우는 43%(447)이었고, 올바른 손씻기*를 실천한 사람은 단 2.0%(21)로 나타났다.

*
올바른 손씻기 : 30초 이상, 흐르는 물에 비누로 손씻기

질병관리본부는 공중화장실의 경우
, 문고리나 변기 뚜껑 등에서 건강한 사람도 질병에 감염될 수 있는 병원성균이 많기 때문에, 화장실 이용 후엔 올바른 손씻기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 이번 실험에서 검출된 병원성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은 패혈증이나 중증피부감염, 세균성 폐렴 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화장실 이용 후 손을 잘 씻는 습관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이번 실험에서 화장실 이용 후 물로만 잠시 씻은 경우에는 상당수의 세균이 남아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비누로 30이상 손을 씻을 경우 세균이 거의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 일상생활에서 손의 오염이 음식섭취나 조리과정에서 옮겨져 많은 감염병을 발생시키고 있는데, 실험결과 손씻기 실천 여부에 따라 음식물 오염도도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손을 통해 음식을 오염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세균인
대장균을 이용한 실험에서(김밥, 샌드위치 섭취 및 조리 상황 재연), ‘손을 씻지 않고만지거나, 조리한 음식물에서 손을 깨끗이 씻은 후만진 음식보다 약 56배나 많은 세균이 검출됐다.

  


질병관리본부 고재영 위기소통담당관은 올바른 손씻기는 A형간염, 세균성이질, 인플루엔자 등 다양한 감염병을 예방할 수 있다고 전했다.

또한
특히, 병원균이 서식할 가능성이 높은 화장실 이용 후나 음식을 준비할 때, 식사하기 전, 그리고 면역력이 약한 환자를 간병할 때에는 반드시 손씻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 “평소 손을 잘 씻는 습관은 본인 건강은 물론 타인의 안전을 지키는 스스로 하는 예방접종(셀프 백신)”이라 설명하며 실천을 당부했다.

 

한편
, 질병관리본부는 세계 손씻기의 날(10.15)을 맞아 대형 손 조형물이 있는 포항 해맞이 공원에서 상생의 손 씻겨주기시민 참여행사(10.12, 포항 해맞이 공원)를 열고 올바른 손씻기의 중요성을 알렸다.

 

또한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올바른 손씻기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국민 눈높이 소통을 지속 추진해 갈 계획이라 밝혔다.



편집부  FCN FM교육방송 최 리디아 기자(mdesign@fmebs.com)

<저작권자 ©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