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3가지 유형의 선도 산림경영단지 경영모델 마련
산림경영을 지역 산업으로 만들어 갈 선도 산림경영 모델 발표
산림청, 3가지 유형의 선도 산림경영단지 경영모델 마련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 편집부
산림경영을 지역 산업으로 만들어 갈 선도 산림경영 모델 발표
산림청(청장 김재현)은 소규모로 분산되어 경제적인 임업경영을 할 수 없는 개인소유 산림을 집중 지원·육성하여 사유림 경영의 성공모델로 만들고자 선도 산림경영단지에 대한 기본계획 모델을 마련했다.
선도 산림경영단지는 소규모로 분산되어 경영이 어려운 사유림을 500ha∼1,000ha규모로 집단화하고 10년간 75억원∼140억원을 집중 지원
이번에 마련한 기본계획 모델은 3개 단지를 대상으로 3가지 유형의 모델 마련을 위해 현지 여건, 주변 시장 및 소비 상황, 가공시설 등 경영기반을 조사했다. 더불어, 상황 분석을 통해 현장에 맞는 경영목표를 설정하고 장기적인 경영비전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모델은 전남(보성군) 봉화산 선도 산림경영단지의 “산림소득 증대형” 모델로 ‘편백림 중심의 산림소득 증대’라는 비전과 ‘산림소득 67억(년), 새로운 지역 일자리 10,000명(년) 창출’이라는 목표를 설정했다.
장기 경영은 편백나무를 집중적으로 육성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목재를 생산하고 이를 지역제재소에 공급하여 지역 순환 경제 구축을 목표로 함.
단기 경영은 사회적경영체와 함께 두릅나무 육성단지를 조성하여 산주와 지역주민의 소득을 창출하고 일자리를 만들고자 함.
두 번째 모델은 경남(산청군) 모고산 선도 산림경영단지의 “지역산업 활성화형” 모델로 ‘산청지역산업 활성화를 이끄는 선도산림경영단지’라는 비전과 ‘지역발전 기대효과 545억원(50년), 신규 일자리 4,000개(년) 창출’이라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장기 경영은 상수리나무, 편백나무를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이를 지역의 제재·톱밥·펠릿 공장에서 활용하여 지역순환 경제를 구축을 목표로 함.
단기 경영은 사회적경영체와 함께 음나무, 산마늘 육성단지를 조성하여 산주와 지역주민의 소득을 창출하고 일자리를 만들고자 함.
세 번째 모델은 강원(삼척시) 하장 선도 산림경영단지의 “목재생산형” 모델로 “목재생산의 전초기지 하장 선도산림경영단지”라는 비전과 “목재생산 360천㎥ 및 판매금 400억원 달성(50년)”이라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장기 경영은 소나무, 낙엽송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이를 지역의 목재가공 시설에서 활용하여 지역순환 경제를 구축을 목표로 함.
단기 경영은 사회적경영체를 만들고 사회적경영체와 함께 산나물 재배단지를 조성하여 산주와 지역주민의 소득을 창출하고 일자리를 만들고자 함.
한창술 산림자원과장은 “이번에 마련된 3가지 유형의 모델을 산림청 누리집(www.forest.go.kr)에 공개하고 이 모델을 바탕으로 선도 산림경영단지와 제재소, 임산물가공 공장 등 지역산업과 연계하여 산림산업이 지역을 대표하는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편집부 FCN FM교육방송 이승훈 기자(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