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간 및 혈중중성지방을 획기적으로 억제하는 신약후보물질 개발돼

개발물질, 독성없이 고지방식이로 인한 지방간 86% 억제, 혈중중성지방 178% 억제

[ 기사위치 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지방간 및 혈중중성지방을 획기적으로 억제하는 신약후보물질 개발돼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 편집부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개발물질, 독성없이 고지방식이로 인한 지방간 86% 억제, 혈중중성지방 178% 억제

한국식품연구원(원장 박용곤) 대사질환연구단 최상윤 박사 연구팀은 지질생성 억제효능이 있는 천연물질인 레스베라트롤 및 제니스테인의 화학구조를 변형하여 개발된 물질이 획기적인 지방간 및 혈중중성지방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지방간은 간내에 과도한 지방이 축적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지방간염, 간경변증, 간암 등의 합병증을 일으키며 전체 인구의 20~30%가 지방간을 앓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또한 혈중중성지방은 동맥경화를 유발하여 협심증, 심근경색, 중풍 등을 일으키는 주요원인이 되는데 이번 연구결과로 이들 질환의 개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연구팀은 개발물질이 고지방식이로 인한 실험용 쥐의 지방간을 줄이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여 특허등록 (특허 10-1729078)을 완료하였고 추가적인 국제특허출원을 진행중에 있다. 

실험용 쥐를 활용한 실험에서 동 개발물질을 적은 용량으로 12주 투여하여 86%의 지방간 개선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GLP 독성시험 결과 단회경구투여, 유전독성, 안전성약리 시험 모두에서 무독성으로 판별됐다.

또한, 고지방식이로 인한 혈중 중성지방 증가를 획기적으로 낮추는 물질을 추가로 도출했다. 

실험용 쥐를 활용한 실험결과 동 개발물질은 고지방식이로 인한 혈중중성지방농도 증가를 178% 억제하여 동 개발물질 투여군은 일반식이군 보다도 훨씬 더 낮은 혈중중성지방 수치를 나타냄을 확인했다.

현재 연구팀은 서울대학교 약학대학과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지방간과 고지혈증개선용 신약개발 및 산업화 대비 연구’등의 후속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최상윤 박사 (한국식품연구원 책임연구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부교수)는“개발된 물질은 합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경제적으로도 경쟁력이 뛰어나다”고 밝혔다. 또한“활성이 탁월하면서도 1단계 GLP 독성 테스트 결과 테스트한 전항목에서 무독성으로 판별되어 신약으로써의 개발 가능성이 높다”라고 강조하였다.



편집부  FM교육방송 편집부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