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리안위성 2A호, 12월 5일(수) 오전 5시 40분경 발사 예정
기아나 우주센터(남미 프랑스령 기아나)에서, 고도 36,000km 정지궤도로 발사
천리안위성 2A호, 12월 5일(수) 오전 5시 40분경 발사 예정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 편집부
기아나 우주센터(남미 프랑스령 기아나)에서, 고도 36,000km 정지궤도로 발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와 기상청(청장 김종석)은 ‘정지궤도복합위성 2A호(이하 ‘천리안위성 2A호’)’를 12월 5일(수) 오전 5시 40분경(현지기준 12월 4일(화) 17시 40분경) 남아메리카 프랑스령 기아나(French Guiana)의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발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천리안위성 2A호는 발사체에서 분리되어 고도 250km에서 36,000km에 이르는 최초의 타원궤도에 진입한 이후, 약 2주간 5회의 위성엔진 분사 과정을 거쳐 고도 36,000km의 원형 정지궤도로 안착하는 궤도전이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후 약 6개월간 초기운영 과정을 거쳐 내년 7월부터 보다 고도화된 기상 서비스를 제공할 전망이다.
천리안위성 2A호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상관측 탑재체를 이용해, 천리안위성 1호에 비해 해상도가 4배 향상된 고화질 컬러 영상을 10분마다(위험기상 시 2분마다) 지상(국가기상위성센터 등)에 전달한다.
고화질 컬러영상에서는 ‘구름’과 ‘산불연기, 황사, 화산재’ 등의 구분이 가능해져서 기상분석 정확도가 향상되고, 기존에는 예보가 쉽지 않았던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달도 관측할 수 있어 최소 2시간 전에는 탐지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또한, 태풍의 중심위치 추적이 가능해짐에 따라 태풍의 이동경로 추적 정확도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천리안위성 1호 대비 2A호 기상관측 성능 비교 > | |||
구분 | 천리안위성 1호 | 천리안위성 2A호 | 비 고 |
탑재체해상도 | (가시채널) 1km2 (흑백) (적외채널) 4km2 | (가시채널) 0.5km2 (컬러) (적외채널) 2km2 | 4배 증가 |
자료전송속도 | 6.2 Mbps | 115 Mbps | 18배 증가 |
관측속도 | (전구관측) 30분 이하 | (전구관측) 10분 이하 | 3배 증가 |
산출물 수 | 총 16종 | 총 52종* | 3배 증가 |
운영수명 | 7년 | 10년 | 1.5배 증가 |
발사일 | 2010.627 | 2018.12.5 | - |
구름의 온도‧기압‧고도‧형태, 강우의 강도, 에어로솔, 황사, 화산재 등
또한 국내에서 개발한 우주기상탑재체는 인공위성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는 태양 흑점 폭발, 지자기 폭풍 등 우주기상 관측 정보를 제공하여 우주기상 감시 및 관련 연구에 기여할 예정이다.
편집부 FM교육방송 편집부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