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교육수준별 출생·사망·혼인·이혼 분석 발표

[ 기사위치 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통계청, 교육수준별 출생·사망·혼인·이혼 분석 발표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 편집부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통계청이 23일 교육수준별 출생·사망·혼인·이혼에 대한 분석을 발표했다.

2015년 20세 이상 남자 전체의 혼인율(1천 명당 혼인건수)은 15.1건, 대졸이상(24.5건)이 가장 높고 고졸(9.8건), 중졸 이하(3.6건) 순으로 낮아졌다.

남자 대졸 이상의 평균초혼연령(32.5세)이 가장 낮고 고졸(32.8세), 중졸 이하(36.5세) 순으로 높아졌다.

2015년 여자 고졸의 합계출산율은 1.02명, 대졸 이상보다 0.3명 적었다.

2015년 20~49세 여자 전체의 합계출산율은 1.23명, 중졸 이하(1.60명)가 가장 높고 대졸 이상(1.32명), 고졸(1.02명) 순으로 낮아졌다.

여자 고졸의 출산율은 대졸 이상에 비해 20대 후반에는 1.1배 더 높지만 30대부터는 0.6배 수준으로 낮아졌다.

2015년 남자 고졸의 이혼율은 대졸 이상보다 1.5배 높았다.

2015년 20세 이상 남자 전체의 이혼율(1천 명당 이혼건수)은 5.4건, 고졸(6.4건)이 가장 높고 중졸 이하(5.7건), 대졸 이상(4.4건) 순으로 낮아졌다.

남자 고졸의 이혼율은 대졸 이상에 비해 30대에는 2.2배로 가장 높고 이후 점차 낮아지나 50대에도 1.5배 수준으로 높았다.

2015년 60세 이상에서 중졸 이하의 사망률이 대졸 이상보다 2배 높았다.

2015년 60세 이상의 사망률(1천 명당 사망자수)은 24.0명, 중졸 이하(29.2명)가 가장 높고 대졸 이상(14.8명), 고졸(14.6명) 순으로 낮아졌다.

남자 중졸 이하의 사망률은 대졸 이상에 비해 30대에는 9.6배, 60세 이상은 2.1배 높았다. 


편집부  FM교육방송 편집부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