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과 기업이 만나는 곳, 캠퍼스 혁신파크, 선도사업 공모

17일 사업설명회 개최, 21일 ∼ 8월 9일까지 신청서 접수 … 8월 말 2∼3곳 선정

[ 기사위치 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대학과 기업이 만나는 곳, 캠퍼스 혁신파크, 선도사업 공모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 편집부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17일 사업설명회 개최, 21일 ∼ 8월 9일까지 신청서 접수 … 8월 말 2∼3곳 선정

대학 내 산학연협력을 고도화하고, 입지가 우수한 지역에 청년들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캠퍼스 혁신파크 사업이 선도사업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속도를 낸다.

교육부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617() 대학교, 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캠퍼스 혁신파크 선도사업 공모 설명회를 열어, 사업의 개관과 선도사업 공모 일정, 평가 기준 등을 소개한다.

선도사업은
4년제 대학을 대상*으로 신청을 받고(서울제외**), 전문가들로 구성된 평가위원회가 평가기준에 따라 올해 23개소를 선정하여 우선 추진하고, 내년부터는 사업을 본격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대학기본역량 진단결과에 따른 재정지원제한대학 등 일부 대학은 참여 제한

서울시 소재 대학 부지는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지정할 수 없음
(산업입지법 제7조의2 )

공모 공고는
6.20.() 3개 부처 누리집*에 게시되며, 참가신청서를 6.21.()~8.9.() 접수해 8월말 선도 사업을 선정할 예정이다.

교육부
(www.moe.go.kr), 국토교통부(www.molit.go.kr), 중소벤처기업부(www.mss.go.kr)

선도 사업은 도시첨단산업단지 개발 타당성과 함께
, 대학의 사업추진 역량, 향후 기업유치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계획이며, 세부적인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캠퍼스 혁신파크 선도사업 평가기준()

대구분

세부지표

도시첨단산업단지

개발 타당성

개발계획의 합리성 (사업목표와 비전, 추진계획 및 추진방법, 사업규모의 적정성 등)

정부 및 지자체 관련 사업과의 연계가능성

주변지역의 생활환경 및 도시서비스 확보 가능성

기존 캠퍼스와의 조화 및 학습여건 보호 가능성

대학의 사업추진 역량과 의지

대학발전계획 및 특성화계획과의 부합성

대학(캠퍼스 단위) 산학협력 및 기업육성 관련 역량과 기존 실적

사업추진 전담조직 및 추진체계

대학의 캠퍼스 혁신파크 입주기업 지원 방안

기업 유치 및 기업지원 기관의 참여 가능성

기업유치 가능성 및 기업입지 수요

창업·기업지원기관의 유치 및 운용 성과

창업·기업지원기관의 캠퍼스 혁신파크 입주 계획 및 유치 가능성

혁신파크 입주기업기관과 인근지역 산업생태계와의 네트워크 가능성

기타

선도사업의 조기활성화 가능성

대학 내 주체간의 합의

부지의 조기 확보 가능성

지자체의 행재정적 사업지원 의지

입주기업 육성을 위한 지원방안

캠퍼스 혁신파크 개발 및 운영에 대한 기여방안

캠퍼스 혁신파크는 대학의 유휴 부지를 활용하여 조성되는 도시첨단산업단지로서 기업 입주시설, 창업 지원시설, 복지·편의시설 등이 복합 개발되고, 입주기업은 대학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지원받게 된다. 또한 메이커스페이스, 엑셀러레이터 유치 등 창업 지원 및 대학기술사업화 펀드 등도 연계지원될 계획이다.

지난
4243개 부처가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사업 추진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하였으며, 515일 제16차 경제활력대책회의 및 제15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캠퍼스 혁신파크 조성방안을 확정했다.

정부 관계자는
캠퍼스 혁신파크에서 청년은 취업, 창업 기회를 잡고, 기업은 대학이 가진 우수한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으며, 대학은 일자리 창출과 기업을 성장시키는 혁신공간으로 진화할 수 있을 것이다라며,

선도사업을 통해 대학이 지역 경제의 활력소가 되도록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성공모델을 확산시킬 계획이라고 기대를 밝혔다. 



편집부  FM교육방송 편집부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