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충방지 효과 없는 논‧밭두렁 태우지 마세요

주간(2.16.~2.22.) 안전사고 주의보

[ 기사위치 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해충방지 효과 없는 논‧밭두렁 태우지 마세요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 편집부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주간(2.16.~2.22.) 안전사고 주의보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영농기를 앞두고 논밭두렁이나 농사 쓰레기 등을 태우다 임야화재*로 이어질 위험이 높은 만큼 화재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임야화재: , 들판, 밭두렁, 과수원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소방청)

최근 3년간(‘17~‘19, 합계) 산과 들에서 발생한 임야화재는 총 7,736건 이며, 324(사망 48, 부상 276)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최근 3년간(‘17-’19, 합계) 임야화재 인명피해

 

 

또한, 밭두렁 등을 태우다 발생한 인명피해의 85%(277)50세 이상에서 발생했고, 특히, 전체 사망자의 69%(33)70세 이상에서 발생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17.03.04.)경기 화성시 주말 농장 운영을 위해 밭두렁을 태우던 60대 사망

(‘19.04.22.) 충북 청주시 밭에서 농사 쓰레기를 태우던 70대 사망

본격적인 영농기 시작 전인 2월에는 1,089건의 임야화재로 55(사망 8, 부상 47)의 인명피해 발생했다. 

최근 3년간(‘17-’19, 합계) 임야화재 발생현황

 

2월의 임야화재를 원인별로 분석해 보면 988(91%)이 부주의로 발생했다.

부주의는 주로 쓰레기 소각이나 논밭두렁 태우기, 화원(불씨)방치 등이 원인이었다.

최근 3년간(‘17-’19, 합계) 2 원인별 임야화재 현황

<원인별>

   

 

조사에 따르면 해충을 없애려고 논밭두렁을 태우는 것은 오히려 해충의 천적을 사라지게 만들어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충청지역 논둑(1, 3개소)에서 서식하는 미세동물 조사(‘15, 농촌진흥청)

해충(딱정벌레, 노린재 등)908마리(11%), 해충의 천적(거미 등) 7,256마리(89%)

올해는 예년보다 포근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산과 들에서의 임야화재 발생 위험이 높다.

1평균기온: ‘202.8(’73년 이후 가장 따뜻한 1), 평년(’81~‘10) -1.0

밭두렁이나 비닐, 쓰레기 등을 무단으로 태우는 것은 불법이며, 자칫 산불로 번지면 관계 법령에 따라 과태료와 벌금징역 등의 처벌을 받는다

산림보호법 제53(벌칙), 산림보호법 시행령 제36(과태료 부과기준)

산림이나 산림과 인접한 지역에서 불을 피우면 3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과실로 산불을 낸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등 관계법령에 따른다.

비닐 등 농사 쓰레기는 절대 태우지 말고 수거하여 처리하고, 마른 풀 등은 낫이나 예초기 등으로 제거한다.

하지만, 부득이하게 소각이 필요할 경우에는 마을단위로 지방자치단체 산림부서의 허가(산림보호법)를 받은 후 공동으로 실시한다.

공동소각은 산불진화차 등 화재를 쉽게 진화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산불진화대원의 도움을 받아 진행한다.

김종한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 그 동안 관행처럼 해왔던 논밭두렁 태우기는 실질적인 해충방지 효과가 없고, 안타까운 사고로 이어지기 쉬운 만큼 이제는 그만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편집부  FCN FM교육방송 최 리디아 기자(seedinout@fmebs.com)

<저작권자 ©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