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상·미끄러짐·저체온증 등 겨울 산행 주의
최근 3년 겨울철 안전사고 발생률 18%... 철저한 산행 준비 필요
낙상·미끄러짐·저체온증 등 겨울 산행 주의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 편집부
최근 3년 겨울철 안전사고 발생률 18%... 철저한 산행 준비 필요
산림청(청장 김재현)은 새해를 맞아 산을 찾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각종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며 등산객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11일 밝혔다.
특히, 겨울에는 등산객이나 각종 동호회 등 단체에서 설경을 즐기기 위해 산을 찾는 경우가 많으나, 경치를 즐기는데 집중하다 보면 자칫 안전에 소홀해지기 쉬우므로 더욱 조심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연 1회 이상 등산하는 인구가 3200만 명에 달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을철에 산을 찾으나 산행 인구 대비 안전사고 비율은 겨울이 더 높은 편이다.
※ 최근 3년간 등산객 비율 : 가을 31%, 겨울 16%
최근 3년간 안전사고 비율 : 가을 32%, 겨울 18%
최근 3년(2014∼2016년) 동안 발생한 등산 관련 안전사고 중 겨울철(12월∼2월) 발생률은 18%이고, 전체 사고 원인 중 등산객의 안전부주의로 인한 실족·추락, 안전 수칙 불이행이 45%를 차지한다.
겨울 산행 시 쌓인 눈으로 인한 미끄러짐이나 추락, 갑작스러운 기온 하강에 따른 저체온증, 일몰 전 하산하지 못해 길을 잃는 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산행 전 일기예보를 확인하고 보온용 모자, 장갑, 여벌의 옷, 등산 스틱, 아이젠 등 등산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또한 산행 중 체력 안배에 신경을 쓰고 지정된 등산로를 이용하며, 일몰 전 여유를 두고 하산하는 등 철저한 산행 준비가 필요하다.
산림청은 산악사고 예방을 위해 「산악사고 안전매뉴얼」, 「안전산행 길잡이」 등 안전산행 관련 각종 홍보물을 제작·보급하고 있다.
아울러, 산림항공본부에서는 구조장비를 갖춘 헬기 30대와 산악구조대원 12개 대대 49명이 주중·주말 상시 비상근무체제를 갖추고 국가 차원의 산악구조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산림청은 산악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민간산악구조대와도 합동 구조 체계를 구축했다.
전국 17개 시·도에 (사)대한산악구조협회 소속의 민간 구조대원 700여 명이 비상상황에 대비하여 상시 대응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용석 산림휴양등산과장은 “국민들이 즐겁고 안전하게 겨울 산행을 즐기기 위해서는 결빙에 대비하여 꼼꼼히 등산장비를 챙기고 안전 수칙을 준수하는 등 사고예방을 위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라고 당부했다.
겨울철 산행시 주의해야 할 점
동절기 안전산행 요령
1. 일찍 출발하고 일찍 하산한다.
겨울산은 해의 길이가 급격히 짧아진다. 따라서 산행을 계획할 때에는 되도록 이른 시간에 출발하고 하산은 어둡기 전에 마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상황에 대비하려면 헤드랜턴이나 손전등을 준비하고 여분의 전구와 전지를 챙기도록 한다. 또 유사시 섭취할 수 있는 고열량의 비상식은 반드시 지참하고 보온병에 뜨거운 차나 음료를 담아 배낭에 넣어두는 것도 방법이다.
2. 장비와 복장에 만전을 기한다.
우리나라의 눈은 대부분 습설이기 때문에 수분의 침투를 막을 수 있는 방풍, 방한, 방수 의류는 필수이다. 여기에 보온의류나 방수와 보온 기능이 뛰어난 등산화도 빼놓을 수 없는중요한 장비다.
양발과 장갑은 여분을 준비해 젖었을 때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겨울철 운행구인 아이젠, 바라클라바(목출모), 스패츠 등과 심설산행에 적합하도록 넓은 바스켓이 부착된 워킹스틱도 꼼꼼히 챙긴다.
동계용 운행장비는 미리 출발전에 작동의 이상 유무를 확인해 두어야 한다.
3. 떠나기 전 일기예보를 확인한다.
산행에 나서기 전에 오르고자 하는 산의 기상상태와 적설량, 온도변화 등을 체크해야 적절한 코스와 산행시간, 필요장비를 예측할 수 있다. 특히 장기 산행의 경우 반드시 기상청이나 인터넷 일기예보 등을 통해 기상추이를 확인하고 라디오, 온도계 등을 휴대해 날씨변화에 대비하자.
4. 땀 조절과 체력 안배에 신경 쓴다.
운행 중 땀을 많이 흘려 옷이 젖게 되면 저체온증이나 동상의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적당한 속도를 유지하며 몸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조절해야 한다.
산행거리에 비해 시간은 넉넉히 잡고 기온에 따라 신속히 옷을 벗고 입을 수 있도록 배낭의 꺼내기 쉬운곳에 자켓이나 우모복을 둔다. 눈이 쌓인 겨울산은 보행이 어렵고 체력소모 또한 많아진다. 자신의 체력을 파악하고 잘 조절해야 목적지에 무사히 도착할 수 있다.
겨울산행 필수 장비 목록
1. 등산용 보온내의 - 합성소재의 얇고 가벼운 것으로
고소내의로도 불리는 등산용 보온내의는 폴리프로필렌, 메라클론, 다크론, 폴리에스터 등 합성섬유가 주로 이용된다. 이런 소재들은 보온력이 뛰어나고 신축성이 있어 착용감이 좋은 것이 장점이다.
2. 웃옷과 등산용 바지 - 보온력, 활동성에 방풍성도 고려해야
겨울철 웃옷의 종류로는 티셔츠나 남방, 스웨터, 조끼 등이 있는데, 최근에는 파워스트레치와 같은 플리스 소재의 티셔츠가 인기가 있다. 겨울철에 적합한 바지는 활동성과 보온력의 두 가지 요소를 두루 갖춰야 한다. 모직류의 소재보다는 방풍기능을 보강한 윈드스토퍼 소재의 신축성이 좋은 소재를 권장한다.
3. 방수방풍 기능성 겉옷 - 비와 폭풍설을 막기 위한 필수 장비
기능성 겉옷은 겨울 뿐만 아니라 사계절 중요한 장비다. 방수방풍 가능성 소재의 대표적인 것은 고아텍스다. 이 제품은 물과 바람을 완벽하게 막아주면서도 내부의 습기를 배출하는 기능을 지녔다.
4. 기타 운행구 및 소품 - 스틱, 크램폰, 모자, 장갑, 양말, 목출모(바라클라바)
등산용 스틱은 겨울철 심설산행이나 빙판 운행시 사용하면 매우 편리하다. 눈이 많은 곳에서 스틱을 사용할 때는 링(바스켓)이 큰 것을 사용해야 깊이 빠지지 않는다. 크램폰(아이젠)은 미끄러운 산길을 안전하게 다닐 수 있는 이빨이 있고 신발 아래에 매어 차는 장비다. 워킹용 크램폰은 발톱수가 4~6개 소형도 있으나 10발 이상의 분리형 크램폰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모자와 장갑도 겨울철 체온 유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소품들이다.
5. 선글라스와 자외선 차단 화장품
눈이 많은 겨울철의 등반에는 선글라스 착용이 필수적이다. 자외선이 매우 강렬한 곳이나 눈보라가 심한 곳에서는 안경테와 눈주위까지 가려주는 덮개가 있는 것이 좋다.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선 크림은 태양차단지수 SPF 15 이상인 것을 사용해야 한다.
6. 헤드랜턴
겨울에는 해가 일찍 떨어지기 때문에 비상시를 대비해 보행중 또는 작업중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헤드랜턴을 항상 지참하여야 한다. 헤드랜턴의 밝기는 전구가 좌우하는데 일반전구보다 할로겐 전구는 3배 이상 밝다. 하지만 전력소모가 많아 여분의 전지를 많이 준비해야 한다.
7. 등산화 - 방수성능 확실해야 후회 없어
겨울철 등산화는 추위와 눈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해 보온력과 방수성능이 좋은 것을 골라야 한다. 최근에는 가죽등산화보다는 가죽 갑피 안쪽에 고어텍스 필름을 넣어 방수와 투습기능을 향상 시킨 제품들이 인기가 있다.
겨울철 등산화는 사이즈 선택이 중요하다. 너무 작으면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동상을 유발하기도 하고 너무 크면 운행 중 등산화 속의 발이 움직여 뒤축이 까지거나 쉽게 피로를 느낄 수 있다.
편집부 FM교육방송 편집부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