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2018년 우수 로컬푸드직매장 9개소 선정!
우수 농산물 직거래사업장의 인증을 기념하는 현판식 개최
농식품부, 2018년 우수 로컬푸드직매장 9개소 선정!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 편집부
우수 농산물 직거래사업장의 인증을 기념하는 현판식 개최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 이하 ‘농식품부’)는 2018년 9개소*의 로컬푸드직매장을「우수 농산물 직거래사업장」으로 인증하고, 1월 23일, “순천로컬푸드 순천만국가정원점”에서 인증을 기념하기 위해 현판식을 개최했다.
< 2018년 인증사업장 현황 > |
① 김포농협로컬푸드직매장 1호점, ② 순천로컬푸드 순천만국가정원점, ③ 완주로컬푸드직매장 둔산점, ④ 익산로컬푸드직매장, ⑤ 전북삼락로컬마켓, ⑥ 전주푸드송천점, ⑦ 전주푸드 종합경기장점, ⑧ 포천로컬푸드 파머스마켓, ⑨ 협동조합농부장터 로컬푸드직매장 |
이번 행사는 지난해 엄격한 인증심사를 거쳐 인증을 취득한 인증매장을 널리 알리기 위해 마련된 행사이다.
직거래농산물 비중, 농산물 안전성, 여성·고령농 참여율 등의 지표가 우수한 매장을 선정하고 있으며, 2017년 12개의 매장을 시작으로 지난해에는 9개소가 인증을 취득하였다.
< 2018년 인증사업장 주요 특징(발췌) > □ 순천로컬푸드 순천만국가정원점 ◦ 운영사인 순천로컬푸드(주)는 생산자, 소비자, 시민단체 등 다양한 주체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시민단체가 주도하고 있어 매장운영에 있어 가장 이상적인 민·관협업 사례로 평가 □ 익산 로컬푸드직매장 ◦ 익산 농업인들 주체로 협동조합을 설립해 운영하고 있으며, 자가농산물의 가공품 다양화 노력이 가공품 법인설립으로 이어져 자생한 모범사례 ◦ 지역농산물 직거래비중이 92% 이상이며, 판매수익의 88%이상을 지역 생산자에게 환원하여 지역 농촌경제 발전에 이바지 |
특히 이번에 인증받은 매장들은 지난해 2017년보다 까다로워진 심사기준을 통과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더욱 크다.
소비자들이 믿고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출하 농산물의 안전관리 노력에 대한 평가가 더욱 깐깐해졌으며*,
(기존) 연간 안전성조사 실적 80건/배점 5점 → (개편) 110건/10점
농가레스토랑, 카페 등 부대시설을 운영을 통해 지속가능한 직거래공간 조성, 고용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정도도 평가하였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현판식을 계기로 로컬푸드와 직거래의 가치가 인증매장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각인되도록 홍보, 마케팅, 교육·교류 등의 지원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2013년 농산물 직거래활성화를 위해 정책적 지원을 개시한 이래 로컬푸드직매장은 농산물 직거래의 대표모델로 자리매김하였으며 매년 성장하고 있다.
2013년 27개소였던 로컬푸드직매장의 수는 2018년 229개소까지 늘어났으며, 같은 해 기준 매출액은 317억원에서 4,347억원으로 지난 6년 동안 괄목한만한 성장세를 보여 왔다.
연도별 개소수(누계): (‘13) 27개소 → (’15) 103 → (‘16) 154 → (‘17) 188 → (’18) 229
연도별 매출액: (‘13) 317억원 → (’15) 1,659 → (‘16) 2,607 → (‘17) 3,565 → (‘18) 4,347
이는 로컬푸드가 가진 얼굴있는 먹거리라는 특성과 더불어 합리적인 가격, 농산물의 신선도 등 요소들이 어우러져 소비자들에게 두터운 신뢰를 쌓아왔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영세소농의 경우 생산규모가 적고, 유통비용도 많이 들어 도매시장을 비롯한 안정적인 출하처를 확보하기 어려운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농식품부는 이들 농가들을 위해 로컬푸드직매장 등 농산물 직거래활성화 정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해 12월, 사업자들의 부담을 완화하여 민간분야의 직매장 사업참여를 적극 유도하고자 지자체의 지방비를 추가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인테리어 위주의 지원에서 건축·시설비 등으로도 자금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직매장 사업을 개편하였다.
(기존) 국고 30%, 자부담 70% → (개편) 국고 30%, 지방비 30%, 자부담 40%
여름철 성수기, 김장철 등 특정 시기에 농산물 소비촉진, 수급안정 등의 기능을 하는 ”테마형 직거래장터“ 지원을 확대하고,
전국 최대 규모의 직거래장터인 과천 경마공원 소재 “바로마켓”과 같은 대규모의 장터를 지자체와 협업하여 추가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편집부 FM교육방송 편집부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