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안전사고 예방, 안전교육이 희망입니다

대국민 안전교육 콘텐츠 105개 시범서비스 실시

[ 기사위치 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재난‧안전사고 예방, 안전교육이 희망입니다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 편집부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대국민 안전교육 콘텐츠 105개 시범서비스 실시

[사례1 : 중학교 선생님]

세종시에 사는 중학교 선생님인 이교육씨(남31세)의 다리에는 화상 흉터가 있다. 마당에 둘러앉아 고기를 구워먹다 기름에 튄 불씨를 끄기 위해 물을 부었는데, 불길이 주위로 번져 다친 것이다.

불이 나면 물을 부어 끈다고 단순하게 생각했던 것이 화근이었다. 십여 년이 지나 흉터는 희미해졌지만, 그 당시의 기억은 지금도 아찔하게 남아있다. 그래서 이교육씨는 자신과 같은 사고를 학생들이 겪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다양한 상황에서의 안전교육을 위해 국민안전처가 운영하는 국민재난안전포털에 접속하여 ‘화재발생 주요원인 및 대책’, ‘취사용 가스사고 대처요령’ 등 교육 자료를 학교 안전교육 시간에 활용하였다.

 

[사례2 : 영유아 부모]

부산시에 사는 김국민·이안전씨 부부(남32세, 여34세)는 14개월 된 아이의 안전을 위해 카시트를 준비하기로 했다. 부부는 국민재난안전포털에 접속하여 ‘영유아 상황별 응급처치’방법을 배우고, ‘카시트 안전 및 안전지침’ 동영상을 보며 아이의 연령에 맞는 카시트 종류와 안전한 착용방법을 확인했다.

[사례3 : 어르신 보호자]

서울시에 사는 장보호씨(여42세)는 최근 부쩍 기억력이 감소한 아버지(남76세)에 대한 걱정으로 밤잠을 설치고 있다. 특히 혼자 계시다가 사고가 발생하면, 대응을 제대로 하시지 못할 것에 대한 걱정이 크다. 그래서 만일의 사고에 아버지가 대응할 수 있도록 ‘낙상 예방’, ‘길 잃음 대처요령’ 등 상황별 대처요령에 대한 동영상을 반복적으로 보며 함께 공부하고 있다.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새롭게 제작한 대국민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콘텐츠(105편)를 국민재난안전포털(kasem.safekorea.go.kr)을 통해 3월 2일부터 시범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안전교육 콘텐츠는 경기도와 협업을 통해 영유아기에서 노년기에 이르는 6개 생애주기* 와 생활안전, 교통안전 등 분야별**로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제작했다.

* 영유아기‧아동기(25편), 청소년기‧청년기‧성인기‧노년기(80편)
** 생활안전(25편), 교통안전(13편), 자연재난안전(18편), 사회기반체계안전(13편), 범죄안전(16편), 보건안전(20편)

대국민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콘텐츠는 우리 생활주변에서 발생하는 재난·사고의 방지를 위해 안전교육 대상을 전(全)생애로 확대하여 다양한 상황별로 제작하였으며 주요 서비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영유아기‧아동기‧청소년기‧성인기‧노년기 등 생애주기별로 구분하여 각각에 필요한 안전교육 콘텐츠와 대처요령을 담은 교육 자료를 제공한다.

장애인, 노인 등 안전 취약계층과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교육 영상도 제작하였으며 특히, 청각장애인을 위해 한글 자막을 제공한다.

안전교육 콘텐츠들은 애니메이션, 드라마, 인포그래픽, 동요 등 다양한 형식을 활용하여 흥미와 관심도를 높였다.

아울러 다문화 가정, 외국인들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영어,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 베트남어 등 외국어 자막도 함께 제작해 6월 중으로 서비스할 예정이다.

국민안전처는 국민들이 각 가정과 학교, 직장의 안전교육에 활용하는 등 안전문화운동*에 기여할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배포, 전파할 계획이다.

* ‘17. 3월 시범(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실시, 7월 중 전국 확산 예정

또한, 전국 155개 안전체험관에도 제공하여, 안전 체험교육 보조 자료로 활용하도록 하고, 6월 중 “국민 안전교육 포털(가칭)”을 새로 구축하여, 안전교육 콘텐츠, 재난대비 국민행동요령, 안전체험관 위치·이용방법 등을 통합 서비스할 계획이다.

한편, 국민안전처는 이번에 새로 서비스하는 105개 콘텐츠의 오류를 찾는 이벤트인 ‘옥의 티를 찾아라(가칭)’를 통해 수요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콘텐츠의 완성도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 국민안전처 국민재난안전포털(
www.safekorea.go.kr), 대표홈페이지(www.mpss.go.kr) 등을 통해 이벤트 참여(‘17.3.2. ~ 4.15.까지) 가능

국민안전처 박인용 장관은 “이번 안전교육 콘텐츠 서비스가 영유아기 부터 노년기 까지 연령대별로 필요한 맞춤형 안전교육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안전교육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서비스함으로써 가정과 학교 등 일상생활 속의 안전실천 역량을 높여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편집부  FM교육방송 편집부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