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청년 해외 진출 마중물 역할 톡톡히!

[ 기사위치 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농식품부, 청년 해외 진출 마중물 역할 톡톡히!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 편집부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올해 시작한 농식품 분야 해외 인턴십 지원 사업(OASIS*)이 사업 초기임에도 불구하고 의미 있는 성공 사례를 쌓아가고 있다고 밝혔다.

OASIS : Overseas Agricultural Sector Intern Scholarship

이 사업은 농식품 분야 국제기구 및 선진 해외연구소기업 등에 우리 청년들을 인턴으로 파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올해 총 50명을 파견할 계획이며 상반기에는 30명을 파견하였다.

상반기 선발된 인턴은 국제연합(UN) 전문기구인 유엔식량농업기구(FAO)와 국제농업개발기금(IFAD), 농업분야 대표적 싱크탱크인 미국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 세계 1위의 농업대학인 네덜란드 와게닝겐대 산하 경제연구소 등을 포함해 총 9개 기관에 파견되었으며,

본인 전공 등을 감안하여 영양식품시스템, 토양 수자원 관리 등 다양한 부서에 배치되어 활약 중이다

그 중, 페슬 인스트루먼츠(Pessl Instruments, 오스트리아 소재 농식품 빅데이터 전문 글로벌기업) 소프트웨어팀에서 근무 중인 인턴은 인턴계약 종료(7.11)를 앞두고 최근 동 기업으로부터 채용을 제안 받은 상태다.

IFAD에서 근무하고 있는 인턴(6)의 경우 우리측이 체재비를 지원하는 기간(3개월)에 더하여 국제기구 자체 예산으로 근무기간을 3개월 추가 연장하기로 하였으며

FAO의 경우에도 인턴 계약 종료일이 임박하지는 않았으나, 내부적으로 능력과 자질을 인정받은 인턴에 대해 개별적으로 근무기간 연장에 대한 대화가 오가고 있는 상황이다.  

일례로, IFAD 인사팀에서 보내온 인턴평가서에는 우리나라 인턴이 학습분석력이 뛰어나고 컴퓨터 프로그램에도 능숙하다는 내용이 담겨있어 우리나라 인턴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엿볼 수 있다.

농식품부 정일정 국제협력국장은 “OASIS 사업이 청년들의 해외 진출을 위한 마중물이 되기를 바라며, 어학 및 컴퓨터 능력이 출중한 우리나라 청년들은 충분히 세계무대에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농식품부는 높은 관심과 선호에도 불구하고 진출이 쉽지 않았던 해외 일자리에 우리나라 청년들이 적극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인턴십 지원 사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현재 농식품부에서는 하반기 인턴파견을 위해 서류전형과 국내면접을 마무리하고 7월 중순까지 현지 채용기관의 원격면접을 진행할 예정이다.

하반기 파견 예정자(8개 기관, 20)는 국내에서 사전 교육을 이수한 이후 이르면 8월말부터 현지 근무를 시작할 전망이다.



편집부  FM교육방송 편집부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