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고궁박물관에서 함께 만드는 판소리 가락

국립고궁박물관 「한 주의 쉼표, 고궁 음악회」개최 / 7·14·21·28일 오후 3시

[ 기사위치 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국립고궁박물관에서 함께 만드는 판소리 가락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 편집부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국립고궁박물관 「한 주의 쉼표, 고궁 음악회」개최 / 7·14·21·28일 오후 3시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지병목)11월 매주 수요일(7, 14, 21, 28) 오후 3시에 상설공연 한 주의 쉼표, 고궁 음악회2층 로비에서 개최한다.

한 주의 쉼표, 고궁 음악회는 국가무형문화재 명창의 무대 등 수준 높은 국악공연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의 음악공연을 선보이는 국립고궁박물관의 대표적인 문화행사다.

이번 음악회에서는
관람객과 함께하는 판소리를 주제로 추임새 배우기, 해설이 있는 판소리 공연을 펼치며 11월 한 달 동안 관람객과 국악으로 교감할 수 있는 공연으로 구성하였다.


7
, 14, 21일 공연에서는 소리꾼 오단해(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심청가 이수자)와 그의 오래된 친구이자 고수로 활동하는 이우성(서울시 무형문화재 제25호 판소리 고법 이수자)이 소리와 장단의 합을 맞출 예정이다.

판소리
: 한 명의 소리꾼과 한 명의 고수(북 치는 사람)가 음악적 이야기를 엮어가며 연행하는 장르

판소리 무대에서 고수는 북을 연주하는 조력자로만 보이지만 천하의 명창도 고수를 잘 만나지 못하면 제 역량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고수의 역할은 절대적이다. 그만큼 판소리에서는 두 사람의 합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관람객들은 고수의 추임새도 배워보고 학창시절부터 함께해온 두 친구가 소리꾼과 고수로 만나 우정과 예술로 어우러지는 모습을 보며 색다른 감동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 28일 공연에는 전통과 창작을 넘나들며 국제적으로 활동 하는 전태원(JTBC 팬텀싱어2 출연, 전주대사습 2)이 함께한다. 공연자로부터 듣는 판소리에 대한 정보도 듣고 젊은 소리꾼의 신명나는 무대도 감상할 수 있다.

국립고궁박물관의 입장료와 상설공연 관람은 모두 무료로 운영된다
. 행사에 대한 더 자세한 사항은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gogung.go.kr)과 공식 페이스북(facebook.com/gogungmuseum)에서 확인하거나 전화(02-3701-7500)로 문의하면 된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이번 공연 관람을 위해 방문하는 국내외 관람객들이 선율적 표현이 중요한 판소리에 직접 추임새를 넣어보고 판소리에 대한 정보도 얻는 유익한 시간이 될 것으로 본다. 앞으로도 관람객들에게 소중한 추억과 즐거움을 선사하는 다양한 문화 행사를 선보이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편집부  FM교육방송 편집부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