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등 식품원료의 기능성시험을 지원해 드립니다

한국식품연구원 통해 식품 기능성평가지원사업자 공모

[ 기사위치 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농산물 등 식품원료의 기능성시험을 지원해 드립니다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 편집부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한국식품연구원 통해 식품 기능성평가지원사업자 공모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 이하 농식품부)는 고부가가치 식품산업 확대 및 식품과 농업과의 연계 발전을 위해 국산 농축산물 유래 식품소재의 기능성 규명을 지원하는 “2019년도 식품기능성평가 지원사업의 사업 대상자를 모집한다.

모집대상자는 중소
·중견기업, 영농조합법인, 농업회사법인, 벤처기업 등 국산 농축산물 등을 이용하여 기능성식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식품업체이며,

사업대상자로 선정될 경우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등록할 수 있도록 인체적용시험(세포·동물 시험) 및 인체적용시험과 개별인정형 원료 등록 컨설팅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모집기간은
18일부터 131까지로 시행기관인 한국식품연구원에서 접수하여 평가를 거쳐 선정하게 된다.

우리나라 건강기능식품 시장규모는
201727천억원으로 전년(201626천억원) 대비 3.8% 성장하였다.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
: (‘11)16,855억원 (‘13)17,920(’14)20,052(‘16) 26,056 (‘17)27,047

선진국은 지속적인 규제완화를 통해 기능성식품 시장에서의 점유 비중을 높여가고 있는데 반해 우리나라는 기능성식품 개발에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진입장벽이 높아 건강기능식품 시장 증가율이 높지 않다
.

국제 기능성식품시장 점유율
: 미국 33.9%, 중국 14.6, 서유럽 12.9, 일본 10.8, 우리나라 2.0

특히
, 일본은 ‘15기능성표시식품제도를 도입해 기능성의 과학적 근거가 확인된 식품에 대해서는 신고 후 기능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식품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다.

일본 기능성식품시장 연평균 성장률
: (도입 전) 1.5% (도입 후) 9.1

농식품부는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능성식품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식품의 기능성표시 규제 개선과 더불어 국산 농축산물 유래 식품소재의 기능성에 대한 과학적 연구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

식품산업의 혁신성장을 위해 기능성표시제도 개선을 관계부처
, 식품업계, 소비자단체 및 국회 등과 지속적으로 협의하여 개선안을 마련하고,

식품 소재의 기능성 규명 연구도 확대하여 인체적용
시험 및 인체적용시험 각 15품목, 기능성원료등록지원 10품목 등 총 40품목(‘1830품목)을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 그동안(‘09년부터) 국산 식품원료에 대한 기능성 규명 연구를 지원하여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원료 등록 9, 특허출원 및 등록 67(등록41, 출원 26), 우수논문(106/SCI86) 발표 등의 성과를 거둔 바 있다.



편집부  FM교육방송 편집부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