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 수출 2억불 달성 머지않아

2018년 인삼류 수출, 전년대비 18.5% 증가한 1억 8,774만불 달성

[ 기사위치 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인삼 수출 2억불 달성 머지않아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 편집부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2018년 인삼류 수출, 전년대비 18.5% 증가한 1억 8,774만불 달성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2017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인삼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올해에는 사상 최초로 2억달러 달성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수출 통계에 따르면
2018년 인삼류 수출은 전년대비 30백만 달러 증가한 188백만 달러로, 전체 농식품 수출 품목 중 5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 수출 품목
: 궐련(792.3백만$), 음료(418.1), 라면(413.1), 커피조제품(265.8)

인삼류 수출
: (’17)6,410158,393$ (’18)7,512(17.2%) 187,742$(18.5%)

인삼 수출 규모에 대해 낙관적으로 전망하는 까닭은 작년의 인삼 수출이 중국 등 특정 시장에 국한되지 않고 일본
, 베트남 등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수출이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전환된 2017년은 기존의 주요 수출국이었던 일본과 인도네시아 수출이 각각 24.4%, 66.1% 감소한 가운데, 중국으로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16,294백만 달러, 75.2%)한데 힘입은 바가 컸다.

이에 비해
2018년의 경우, 중화권과 일본미국베트남캐나다 등 주요국에 대한 수출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인삼 수출이 고른 성장세 속에서 안정화되고 있어 수출 증가세는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가별로는 중화권 수출의 회복세 속에서
, 수출국이 다변화되고 있으며, 품목별로는 홍삼 수출이 29.4% 증가하여 뿌리삼 (홍삼, 백삼, 수삼) 증가세를 견인하였고, 홍삼정 등 제품류 수출도 15.4% 증가하였다.

(
국가별) 중국, 홍콩, 대만 등 중화권으로 100.6백만 달러(29.3%), 베트남, 태국 등 아세안 시장으로 29.5백만 달러(1.8%), 미국, 캐나다에도 각각 23.7백만 달러(12.1%), 3.7백만 달러(17.1%)를 수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국가인 스페인
, 독일, 러시아의 경우 각각 43.5만 달러, 17.6만 달러, 13.7만 달러로 2배에서 10배까지 증가하였다.

(
품목별) 뿌리삼이 전체 수출액의 39.6%(74.3백만 달러)를 차지하여 여전히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음용편이성
, 간편성 등 최근 건강기능식품을 찾는 소비패턴 변화로 제품류(조제품,인삼정,홍삼정 등) 수출(113.4백만 달러)도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뿌리삼 비중
: (’16)44.4백만 달러(33.2%) (’17)60.2(38.0%) (’18)74.3(39.6%)

제품류 수출
: (’16)5,576/ 89,132천 달러 (’17)6,093 / 98,237 (’18)7,212 / 113,412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 주력 수출시장인 중화권의 뿌리삼 재고 소진과 추가 수요 확대, 일본미국동남아 등 시장에서 마케팅 활동 강화가 인삼 수출 증가의 주요한 원인으로 분석된다.

중화권
(전년대비) : (중국) 51.2백만원, 34.8%, (홍콩) 29.0, 35.9, (대만) 20.4, 10.5

기타
(전년대비) : (일본) 32.8백만원, 14.1%, (미국) 23.7, 12.1, (베트남) 15.2, 17.3

수출물량 감소
(11.4%)에도 불구하고, 수출액이 증가(12.1%)한 미국의 사례와 저가의 기타제품류 수출은 감소(9.2%)한 반면, 고가의 홍삼조제품은 증가(32.7%)한 전체 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고려인삼에 대한 인지도와 수출 저변이 점차 견고해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
: (’17)1,21521.1백만 달러 (’18) 1,077 (11.4%) 23.7 (12.1%)

미국
(인삼음료/홍삼정) : (’17)4,279천 달러/7,035천 달러 (’18)3,248(24.1%)/9,138(29.9%)

세계
(기타/홍삼조제품) : (’17)22,746천 달러/31,274천 달러 (’18)20,661(9.2%)/41,490(32.7%)

농식품부 김정욱 유통소비정책관은
세계 시장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고, 중화권의 고려인삼에 대한 견제가 점차 심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인삼 수출이 2년 연속 2자리 수 증가세를 이어갈 수 있었던 것은, 인삼업계의 다각적인 노력의 결과라고 평가하면서

인삼수출 증가세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수 있도록 앞으로 인삼산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하고, 안전성 관리 강화 및 소비수출 활성화 지원 등 정책적 뒷받침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편집부  FM교육방송 편집부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