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에너지 다소비 공공건축물을 위한 솔루션을

올해 30곳 선정하여 그린리모델링 방안 등 제시

[ 기사위치 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2020년 에너지 다소비 공공건축물을 위한 솔루션을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 편집부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올해 30곳 선정하여 그린리모델링 방안 등 제시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통영시청(제2청사) 등 30개 공공건축물을 ‘20년 공공건축물 에너지 성능개선 대상으로 선정하여 녹색건축물로의 전환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한국시설안전공단(이사장 박영수)과 함께 ’16년부터 주요 공공건축물* 중 상대적으로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는 건축물을 대상으로 에너지 성능개선 컨설팅 등을 통해 그린리모델링을 유도하고 있다.

공공이 소유 또는 관리하는 10년 이상 경과, 연면적 3천㎡이상 문화집회시설, 운수시설, 병원, 학교, 수련시설, 업무시설 (3.5천여동 대상) 

올해에는 단위면적당 에너지 소비량 기준 상위 50%이내 건축물 중, 노후도, 에너지효율성, 그린리모델링 사업 파급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선정대상

연번

구분

건물명

위 치

연면적(m2)

1

에너지

다소비 공공건축물 대상

통영시청 제2청사

경남 통영시

5,684.6

2

영천시청(본관)

경북 영천시

5,495.5

3

경찰청사 남관

서울 서대문구

3,571.0

4

서울도봉경찰서

서울 도봉구

9,099.9

5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전북 익산시

14,413.5

6

통영시 수산과학관

경남 통영시

3,587.0

7

목포자연사박물관 자연사관동

전남 목포시

6,610.9

8

동학농민혁명기념관(전시관동)

전북 정읍시

3,945.7

9

서울대학교 052(예술관(미대)3)

서울 관악구

4,383.7

10

서울대학교 021(약학관1)

서울 관악구

6,575.5

11

충남대학교 실내체육관

대전 유성구

3,682.0

12

충남대학교 중앙도서관

대전 유성구

21,618.0

13

수정청소년수련관

경기도 성남시

7,746.4

14

동작구문화복지센터(보건소)

서울 동작구

10,022.0

15

취약계층

이용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대상

서구 보건소(인천)

인천 서구

3,410.4

16

당진시보건소 A동

충남 당진시

3,354.0

17

종합사회복지관(공주)

충남 공주시

3,140.6

18

문경시보건소

경북 문경시

3,204.6

19

서구보건소(대전)

대전 서구

5,547.6

20

청양군보건의료원 가동

충남 청양군

4,978.8

21

대전광역시립제1노인전문병원

대전 유성구

4,676.1

22

경북도립김천노인전문요양병원

경북 김천시

6,674.9

23

도립안동노인전문요양병원

경북 안동시

8,354.8

24

경북도립경산노인전문병원

경북 경산시

6,401.3

25

울산광역시립노인병원

울산 울주군

4,304.3

26

경남도립김해노인전문병원

경남 김해시

6,559.0

27

경남도립양산노인전문병원

경남 양산시

5,640.2

28

경남도립사천노인전문병원

경남 사천시

4,446.3

29

공립노인전문요양병원(광양)

전남 광양시

3,286.0

30

순천병원

전남 순천시

16,082.4

특히, 한국판 뉴딜 정책으로 추진 중인 ‘취약계층 이용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 대상* 16건 등을 포함하는 등 예년보다 선정규모를 확대**하였다.

15년 이상 경과된 국공립 어린이집‧보건소‧의료시설 대상 그린리모델링 사업비 지원 (’20년 및 ’21년 각각 2,276억 국비 지원)

’16년(6개소) ⟶ ’17년(6개소) ⟶ ’18년(6개소) ⟶ ’19년(7개소) ⟶ ’20년(30개소) 

< ’20년 공공건축물 에너지 성능개선 대상 선정 건축물(참고:상세) >


공공건축물

에너지

성능개선

대상

(총30건)

통영시청 제2청사, 영천시청(본관), 경찰청사 남관, 서울도봉경찰서,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통영시 수산과학관, 목포자연사박물관 자연사관동, 동학농민혁명기념관(전시관동), 서울대학교 052(예술관(미대)3), 서울대학교 021(약학관1), 충남대학교 실내체육관, 충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수정청소년수련관, 동작구문화복지센터(보건소)

 

취약

계층 이용

공공

건축물

(16건)

서구 보건소(인천), 당진시보건소 A동, 종합사회복지관(공주), 문경보건소, 서구보건소(대전), 청양군보건의료원 가동, 대전광역시제1노인전문병원, 경북도립김천노인전문요양병원, 도립안동노인전문요양병원, 경북도립경산노인전문병원, 울산광역시립노인병원, 경남도립김해노인전문병원, 경남도립양산노인전문병원, 경남도립사천노인전문병원, 공립노인전문요양병원(광양), 순천병원

< ’20년 공공건축물 에너지 성능개선 대상 주요 건축물 >

에너지 다소비 공공건축물 대상

∙ 건물명 : 통영시청 제2청사
∙ 건령 : 사용승인 후 38년 경과
∙ 연면적 : 5,684.6㎡
∙ 용도 : 업무시설
∙ 에너지 소비량 : 상위 90% 이상

∙ 건물명 : 동학농민혁명기념관
∙ 건령 : 사용승인 후 16년 경과
∙ 연면적 : 3,945.7㎡
∙ 용도 : 문화 및 집회시설
∙ 에너지 소비량 : 상위 70% 이상

취약계층 이용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대상

    ∙ 건물명 : 인천 서구 보건소
∙ 건령 : 사용승인 후 25년 경과
∙ 연면적 : 3,410.4㎡
∙ 용도 : 보건소

    ∙ 건물명 : 순천병원
∙ 건령 : 사용승인 후 35년 경과
∙ 연면적 : 16,082.4㎡
∙ 용도 : 의료시설

선정된 공공건축물에 대해서는 건축물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기술지원*을 통해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3등급↑) 확보토록 하는 등 그린리모델링을 유도해 나갈 계획이며,

건축물 노후현황 평가사업계획 수립 컨설팅 지원사업계획 지원사후관리

해당 건축물 관리 기관은 제안된 내용에 따라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사업계획서 또는 착수계획서를 제출하고 그린리모델링 공사를 추진하게 된다.

그간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동, 대구광역시 수성구청, 동두천시 시민회관 등 다수의 공공건축물이 동사업을 통해 성공적 그린리모델링을 완수하였으며, 

특히 ‘인천연안여객터미널’(’16년 선정)의 경우, 단열보강‧창호교체, 고효율 열원설비 설치, 자연환기 시스템 도입을 통해 에너지소요량 25%이상 절감효과를 달성하는 등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의 모범이 되고 있다.   

인천연안여객터미널

건물개요 및 적용기술

   

∙ 건령 :사용승인 후 25년 경과
∙ 연면적 : 6,473.8 m2
∙ 용도 : 운수시설
∙ 적용기술 :
- 단열재 100mm 추가
- 창호 교체(일반유리로이복층유리)
- 공조방식변경(천청취출기둥취출)

국토교통부 김상문 건축정책관은 “금번 사업이 국가온실가스 감축 등 그린리모델링의 효과와 중요성에 대해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또한 이번 사업이 공공건축물의 에너지 사용량 감축과 그린뉴딜의 핵심사업인 ‘취약계층 이용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의 활성화를 선도함은 물론 민간 부분의 그린리모델링 확산을 견인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

지원 주요내용






편집부  FCN FM교육방송 이승훈 기자(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한국자연치유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